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 Sungkyunkwan University Interaction Science
  • HOME
  • MISSION
  • Mission

MISSION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이 성균관 안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한 차세대 융합
연구 학과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는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을 육성하기 위해 각 학문 분야에서 세계적 성과를 이룬 해외 유수학자들을 국내에 초빙하여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World Class University (WCU) 육성사업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는 국내 유일의 인문사회과학 WCU사업분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습니다.
인터랙션사이언스란?
인터랙션사이언스는 인간과 기술이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현상에 대한 이론을 다양한 학제간 접근을 통해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미래산업의 핵심 영역인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HRI (Human Robot Interaction), DMC (Digital Media & Contents)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터랙션 전문가를 배출하여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인간과 기술이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현상에 대한 이론을 다양한 학제간 접근을 통해 인간 중심의 기술을 창출할 것입니다.

경영학, 신문방송학, 심리학, 사회학, 인문학 등 다양한 학제의 인문사회과학 영역과 디자인 중심의 예술, 그리고 공학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을 선발해 인간과 기술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인터랙션사이언스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 및 연구자를 양성하고, 산업적으로는 산학 밀착형 고급 맞춤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우리 학과의 교육목표로 합니다.

미래 대한민국의 지식
경쟁력 확보

인터랙션사이언스는 이미 많은 한국계 학자들이 활발한 선도연구를 이끌어 좋은 연구성과를 지속해서 발표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성균관대학교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세계 학계를 주도할 수 있는 대한민국 대표 학문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인터랙션사이언스의 적용분야는?
우리 학과는 새로운 형태의 융복합학과로 로봇, IT, 게임 등 문화콘텐츠산업을 바탕으로 전 세계 사용자나 소비자의 특성을 조사·분석해 제품 개발 단계부터 제작단계까지 통합 연구를 진행합니다. 사회과학, 정보통신공학, 디자인 분야에서 독자적으로 수행되어 오던 인간과 기술의 인터랙션 연구를 융합하여 독자적인 인터랙션 특화연구를 통해 제품컨셉트, 디자인, 기술개발의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학제간 접근을 통한
융합형 연구분야

우리 학과는 국내 IT산업과 인터랙션 학문의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터랙션사이언스를 구성하는 각 분야별 최고의 권위자들을 초빙했습니다. 성균관대학교와 해외 유수 대학에서 뛰어난 연구성과를 거둔 세계 일류 학자들이 집결한 국내 최고의 융합연구기관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어떤 분야를 연구하나요?

연구1팀 (HCI)
  • 연구인프라 : 차량용 HUD, 유비쿼터스 기반의 스마트홈
  • 인력수급 : 현대자동차 이노베이션 랩, LG전자 UX연구소
  • 연구내용 : 인간과 기계간의 인터랙션의 핵심인 오감인식 기술(Sensory Technologies), 온톨로지기반 학습 및 추론 기술 개발을 통해, 신성장동력 산업분야인 유비쿼터스 컴퓨팅, 홈네트워크, 지능형 로봇, 텔레매틱스, 차세대 PC 등에 적용가능한 HCI응용플랫폼 기반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융합함으로써 고부가 가치 창출이 가능한 연구 필요함.
  • 국제협력 : Michigan State Univ
연구2팀 (HII)
  • 연구인프라 : 디지털디바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인력수급 : 삼성 DMC연구센터, LG CNS
  • 연구내용 : 인간과 정보간의 자연스럽고 신뢰할만한 인터랙션을 위해서는 오감 융합을 통한 인지적(cognitive) 상황 인식 및 이해, 인지적 웹, UX/UI 구현, 인간 정보학의 상호작용과 연동된 인간심리의 이해와 이를 통한 맞춤형 콘텐츠 설계 기술을 확립할 필요가 있음.
  • 국제협력 : Pennsylvania State Univ.
연구3팀 (DMC)
  • 연구인프라 : Big Data 분석, 스마트 기기의 공동 경험
  • 인력수급 : 넥슨 사용자 경험 연구센터, 삼성전자
  • 연구내용 : 컴퓨터게임과 디지털 미디어의 지능형 Agent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또한, 소비자용 로봇과 사용자간의 Social Interaction을 위해서도 로봇의 사회적 인지능력을 높일 수 있는 인공 지능 연구가 중요함.
  • 국제협력 : Jaume I Univ.

교육의 국제화, 진로의
세계화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는 역동적인 글로컬(global + local)시장과 미래 IT분야의 핵심 연구영역인 인터랙션사이언스 분야의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교육과정의 국제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어떤 국제화 전략이 있나요?
개방적 연구 환경

해외

  • 해외 저명 학자를 dual-appointment professor 초빙으로 사업단 참여
  • Co-advisor system 도입 : 해외공동연구자를 통해 대학원생의 논문지도 및 연구교류

외국인 우수 대학원생 유치 및 확보

  • 우수 이공계 외국인대학원 장학금 지급을 통한 100% 학비감면
  • 기숙사 최우선 배정 및 본교 어학원 한국어 강좌 지원을 통한 기초 생활 편의 제공
  • 외국인유학생보험 의무 가입 및 외국인 학생 멘토제 도입

해외 석학의 초청 및 콜로키움 운영

  • 해외 석학 연구년을 통한 사업단 방문연구를 추진하여 연구자 간 공동연구 및 대학원생 공동지도, 국내 기업체 방문 연구/컨설턴트 수행
  • 학기당 1회 IEEE 및 ACM Fellow 급의 해외 석학 초빙 세미나 개최 및 사업단 교수들과의 교류 추진
국제 공동 연구

연구프로젝트 공동수행, 공동랩 운영외

  • 해외 저명 교수/연구 그룹간 매년 2회 정기적 세미나/워크숍을 통한 공동 연구논문 발표 활성화
  • 박사 과정생의 경우, 해외 유명 대학의 관련 그룹에 단, 장기 방문 연구 활성화
  • 사업단 소속 교수의 해외 유수 대학으로의 연구년을 통한 방문 연구/교류 활성화

국제학술대회 지원 및 중단기 방문 교류

  • 사업단 관련 유명 국제학술대회에 대학원생의 참여를 독려
  • 15일 이상의 중단기 우수 해외 대학 방문 등의 교류 지원
Global Alliance

성균관대의 지역별 중점 파트너 대학을 이용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대

  • 북미지역 : University of Southem Califomia 외 12개 대학과 협정체결
  • 유럽지역 : 영국 Queen’s University Belfast 외 11개 대학과 협정체결
  • 아시아지역 : 일본 Kyoto University 외 40개 대학과 협정체결
  • 기타지역 : 브라질 Unisions University와 협정체결

성균관대-기업-해외 유명대학 및 연구소와의 교류 및 협력체계 활성화

  • 글로벌 네트워크 다양화 및 양방향 교류 활성화
  • 해외 저명학자 초청을 통한 교류협정 확대
  • 학술 교류 협정 체결 해외 연구기관 및 해외 기업 인턴십 등 중장기 현장 체험 기회 제공
  • 국내 기업 해외 사업장(삼성전자:중국, 현대자동차:중국, 미국) 및 외국계 기업의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연계 확대
국제 인프라 업그레이드

공동 랩 구축 (프랑스 Lutin Lab. 이란 인지과학공동연구소 등)

  • 프랑스 Lutin Lab과의 인적교류를 비롯한 공동 연구에 관해 합의 MOU 체결
  • 이란 인지과학연구소와 인적교류를 비롯한 상호 공동 연구에 관해 합의 MOU 체결

대학원생 연구 역량의 글로벌화를 위한 학사 제도 개편 및 캠퍼스 인프라 구축

  • 전공과목 강의 및 학내 세미나 100% 영어 사용의 점진적 추진
  • 석,박사 학위 논문의 100% 영문 작성 및 해외 석학 리뷰를 통한 박사 논문의 품질 인증제 시행 : 박사 학위 취득 요건으로 분야별 최상위 학술지 게재 의무화 추진
  • 외국인 학생 비율을 10%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아시아 이외 국가 (미국 및 유럽) 학생들의 적극적 유치를 통해 진정한 캠퍼스의 국제화 실현
  • 외국인 학생을 위한 기숙사 및 해외학자 Guest House 확충